안녕하세요.
박팀장입니다.
어렷을때부터 칫솔질을 배워오며
생활화된 버릇과 습관의 칫솔질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는 글을 쓰겠습니다.
우리가 아는 칫솔질은?
1. 하루 3번 닦으세요
2. 식후 3분이내에 닦으세요
이 두가지로 생각을 하게 되는데
1번의 경우 잇몸질환 예방과 충치 예방을
같이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2번의 경우 충치예방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우린 어렸을때부터 제일쉽게 닦을수 있는
씹는 면을 닦는게 습관화가 되어있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이와 잇몸이 닿는 경계부분을
닦아야 하는데 말이죠
치과 대학교과서에 써진 내용으로
어금니 쪽의 씹는 면에 있는
좁은 홈에서 충치가 생긴다
그런데 그 홈은 너무 깊고 좁아서
칫솔모가 들어갈 수 없다
이 말은 즉 칫솔질로 확실히
충치를 예방할수 없다
치아의 씹는면은 치과에서 잔홈을 메워주는
치아 홈메우기라는 술식이 있습니다.
그 홈메우기를 하지않으면 기본적으로
씹는면의 충치를 예방하는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결국 충치예방은 이 두가지로 볼수있습니다.
1. 치아 홈을 메운다
2. 불소 치약을 꾸준히 쓴다
칫솔의 선택은?
1. 접촉면
칫솔모가 많아야 접촉면적이 큽니다.
2. 칫솔모의 끝부분
끝부분이 미세모라고 하는걸로 되어있는 칫솔은
끝이 뾰족하기에 접촉면적이 거의 점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이런점이 세균막을 흔들어 놓을 수 있는
능력이 많이 떨어집니다.
끝부분이 평평하게 잘려있고
칫솔모가 많은걸로 고르시면됩니다.
3. 칫솔모의 머리
머리 크기가 작을수록 좋고 칫솔모가
빽빽하게 밖혀있는것이 좋습니다.
선택의 예)
조금큰헤드에 빽빽하게 박혀있는 칫솔
작은헤드에 칫솔모가 듬성듬성 이라면
조금큰 헤드에 빽빽하게 박혀있는 칫솔을 고르시면됩니다.
접촉면적부분이 더 중요하니깐요
4. 칫솔의 손잡이형태
의료기구는 정교한 작업을 하기에 연필잡듯 잡습니다.
칫솔의 대는 연필처럼생긴 육각형이나
사각형, 팔각형 모양의 형태로 된게 가장 좋습니다.
치약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거품이 잘나야 시원한 맛이 있어
거품이 잘나는 걸 선택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계면활성제라고 하는 성분입니다.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라고 하는 성분이
거품을 많이 나게 해주는데
치약 뒷면에 보시면 라우릴황산염,
라우릴 황산나트륨, 서듐 라우릴 설페이트라고
적혀져 있을 겁니다.
이 거품이 많으면 오히려 거품막이
미끄러워서 세균막에 못닿습니다.
이런이유로 정확하게 닦아내는게 어려워집니다.
치약의 핵심은 불소입니다.
불소를 바르기 위해서 치약을 쓰는겁니다.
치아면에 불소를 보충하기 위해 치약을 쓰는겁니다.
치약선택시 불소함량이
950ppm이상을 선택하시면됩니다.
그리고 불소는
먹게되면 구토, 설사, 복통을 유발합니다.
그래서 무불소치약이란게 있습니다.
먹지않는행동을 자의로 할수없는
3살이전까진 무불소치약으로
양치를 해주시면되고
4~5살정도까진 소량의 불소함량의
치약으로 하시면됩니다.
6살이후부턴 성인과 같은 불소함량을
쓰시면됩니다.
키즈치약을보면 단계별루 나눠진 치약들
보셨을겁니다. 2~3단계로 나눠진게
다 저 이유때문입니다.
앞으로는 양치질과 칫솔 치약의 선택을
바르게 하여 자녀들과
우리모두의 치아건강을 위해
힘내시면되겠습니다.
괜찮은 치약을 검색해봤습니다.
1. LAULU치약 (라울루치약)
이 치약은 불소와 계면활성제가 없는 치약으로
좋은선택이 될거같습니다.
아래링크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92RMI
2. 큐라프록스 엔자이칼
이 치약은 불소함유량은 높고
계면활성제가 안들어있는 치약입니다.
아래링크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93lUc
모두 건강한 치아를위해
화이팅!!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